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파이썬
- Crawling
- join
- ML
- Python
- 파이썬 이미지 처리
- Machine learning
- BFS
- CCP자격증
- Shorts
- YouTube
- 백준
- SQL
- DFS
- selenium
- ASAC5기
- ASAC
- cnn optuna
- sql eda
- 프로그래머스
- 머신러닝
- 뷰티 광고
- deep learning
- text summarization
- JSON
- 크롤링
- pandas
- 데이터분석
- ASAC14일차
- EDA
- Today
- Total
낼름낼름 동동이
[ASAC 7일차] 취업 특강 본문
3월 29일의 기록
오늘 오전에는 일정이 변경되어 백준 코딩문제를 계속 풀었다. 어제 공부했던 스택에 대한 복습을 하고 싶어서 스택 문제들을 많이 풀어보았다. 아직 완전 익숙해지진 못해서 주말에도 쭉 봐야겠다.
오후에는 강사분이 오셔서 간단한 취업 전략 및 특강을 해주셨다. 나는 이력서나 포트폴리오를 작성하지 않고 바로 취업을 했다보니 그 부분이 많이 약했다고 느꼈는데 강사님의 특강을 들으니 도움이 많이 되었다.
다음 주까지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미리 생성해두고 계속 업데이트해나가야겠다.
0. 취업 준비의 중요한 포인트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먼저 자기소개서를 미리 써야한다.
- why? : 프로젝트를 완료 해내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왜 이 프로젝트를 하고 어떤 기업에 관심이 많고 가고자하는지 목적, 본질이 중요하기 떄문이야.
- 또, 서류가 붙더라도 실제 면접까지의 시간은 3일정도로 짧다.
- 그래서 미리 면접까지도 함께 준비를 해야 한다.
- 이력서를 만들고 면접 스크립트 파일을 같이 해둔다.
전략상 스타트업 연합 채용이 증가하고 있다.
- 개인적으로 독학을 더 해서 혼자서 더 해보고 싶은걸 하나 더 넣은 것들이 가장 잘 통한다.
- 맨날 똑같은 모델만 그대로 맞춰서 쓰는건 제대로 먹히지 않는다.
- 개인적으로 더 해보고 싶은 것들을 추가적으로 들으면서 준비한 사람
1. 자기 PR
- Careerly(커리어리)
- 개발자들의 커뮤니티
- 여러가지 프로젝트, 창업 팀원 모집
- 커피챗
- 현직자로부터 정보, 커리어 조언 듣기
- 익명으로 음성으로 소통할 수 있음
2. 나와 잘 맞는지 보는 방법
면접전에 예상 해볼 수 있는 질문
- 업무에 대한 질문
- 전형적인 하루 일과와 각 업무의 비중은 어떠 한가요?
- 함께 일하는 사람들과 환경에 대한 질문
- 같은 업무를 하는 동료들이 공유하는 성향이 어떠 한가요?
- 업무 중 어느 부서나 직무의 사람과 협업 및 교류가 많나요?
- 조직과 업계에 대한 질문
- 중간관리자/대표의 성격은 어떠 한가요?
- 회사에서 칭찬받는 사람과 적응 못하는 사람은 각각 어떤 유형인가요?
인턴, 신입, 일자리는 많다
- 그러니, 계속 자소서 쓰면서 마음에 들면 다 지원해보는게 중요하다.
3. 이력서, 자기소개서 작성법 및 사례 공유
- 채용 공고낸 뒤 2~3일 안에 지원하는 케이스를 좋아한다.
- 전체 내용을 담아둔 이력서가 항상 필요하다.
추천하는 이력서 양식
- 맑은 고딕, 글자크기 10
- 자간 동일하게 수정
- 날짜 표기방법 통일하기
- 하이푼 그어서 구체적으로 3줄 이상 쓰기
- 명사형 어미로 통일하기
이력서에서는 중요한점
- 나를 어필해야 한다.
- 과정이나 했던 것의 설명을 소개하면 안된다.
강화, 상승, 이해, 습득 이라는 걸 잘 기억하고 있고 중요하게 생각하기
지원사항 - 작성 TIP
희망 직무
ex) 인사 담당자가 올린 채용공고의 직무명으로 작성하여 넣기
3. About me
작성 꿀팁
- 이메일은 내 의지를 담은 ‘입사지원용 메일 생성’
- 디지털 마케팅 스페셜리스트
4. 경력사항
- 서술형 어미가 아닌 명사형 어미로 기재
- 주요 업무내용은 최소 3줄 이상 최대한 구체적으로 어떠한 일을 했는지
5. 자격증
- 자격증 등급이 있다면 / 옆에 함께 기재
- 직무와 관련성 높은 위주로 기재, 연관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격증 삭제
- 너무 오래된 자격증 삭제
6. 대내외 활동
- 대표적 활동 혹은 프로젝트를 적기, 비워두지 않기
- 당연하게 직무와 관련 있는 대내외활동
- 스터디, CS 스터디 있으면 바로 작성하여 쓰기
7. 교육사항
- 교육내용도 구체적으로 기재하되 어떠한 내용을 배웠고 어떤 역량을 향상 시켰는지 함께 적기
8. SW 역량/ Skill Set
- 구현 경험 보유, 구현 가능 이런식으로 써두는게 좋다.
9. 수상 경험
- 대회명 기재
- 어떻게 참여하게 되었는지, 어떤 역할로 어떤 활동을 했는지 기재
자기소개서 작성 전략
우리는 자소서를 어떻게 작성하는가?
- 성장 과정 쓰랬는데 —> 어릴 때 부터 어떻게 컸는지 쓰는사람.. 등등
기업은 경험을 자세하기 쓴 사람 뽑을까?
- 해당 경험 똑같이 살려서 회사에서 사용하지 않는다는게 중요하다
설득하는 글
내 글을 보는 사람이 어떤 걸 찾는지를 생각해봐야 한다.
나를 드러내려면??
→ NCS.GO.KR 를 활용하자.
정보통신 → 정보기술 →정보기술 전략, 계획 → 빅데이터분석
담겨있는 직무 기술서를 읽어보기
1. 성장 과정
인사 담당자가 좋아하는 건?
→ 직무 성장과정
- 직무에 대해서 확신하게 되고 왜 매력을 느꼈는지 : 내적 동기
- 그다음 어떤 방법으로 공부를 시작했고 어떻게 공부를 해왔는지 써보기
- 어떤 결과를 얻었는지
내 스스로가 그걸 왜 좋아하는지 계속 되물어야 한다. 나의 변연계를 건드리는 게 중요하다.
예를 들어 싫어하는 유형의 팀원에 대해서 물어본다.
- ex) 무책임한 사람을 싫어한다 이렇게 대답하면 안됨
→ 사실은 우리 회사에서도 싫어하는 사람을 만날텐데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2. 업무상 강점
OO이 강점입니다.
그 강점을 500자로 설명할 수 있는 경험을 써야 한다. 다양한 활동이 아니라 하나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써야한다.
모든 사람에게 좋은 강점
- 모든 것을 기록하는 습관 or 정리해두는 습관
예시)
- 지식을 공유하는 태도
- 저는 지식을 공유하는 태도가 강점
- 꼼꼼히 기록하는 역량
- 매주 단 한주도 빠짐없이 일기를 기록한다 등
3. 지원 분야와 관련하여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 노력한 경험
- 300자로 3개 정도 쓰기
- 경험이 아닌 역량으로 소제목 잡고 쓰기
- 2개는 과거 경험 쓰고 1개는 현재 하고 있는 것 쓰기
- 역량은 NCS에서 가져와서 작성
4. 지원동기 및 포부
- 4 문단으로 작성해야 한다.
- 1번: OOOO 분야의 OOO 업무를 통해 성장에 기여하고 싶어서 지원했다.
- 2번: 현재 OO회사는 어떤 목표로 이런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 3번: 직무에 대해서 확신하게 되고 왜 매력을 느꼈는지 : 내적 동기
- 4번: 위의 내용을 한번 더 요약해서 작성
4) 포트폴리오 작성법 및 사례
- 포트폴리오는 어떤 양식이 적합?
- PPT로 작성하는 걸 가장 추천
- PPT는 PDF로 출력 가능하니까
- 프로젝트 주제 선정은??
- 본인 혹은 주변 사람들이 겪는 문제점을 바탕으로
- 프로젝트는 어떤 점을 어필?
- 차별화된 포트폴리오엔 어떤 항목?
- 나의 강점, 입사 후 계획
- 목차 구성
- 다들 쓰는 것
- 차별점 (강점)
- 프로젝트
- 차별점 (입사 후 계획)
항목별 작성 방법 - 프로필
- 직무 성장 과정을 3줄로 줄여서 쓰기
- Education, 프로그래밍 스킬 이런게 쓰여져 있는데 내가 어필하고 싶은 부분을 쓰기
항목별 작성 방법 -강점/역량
항목별 작성방법 - 프로젝트 3개?
- 사진은 1~2장 눈길이 갈 수 있는 것
- 배운점, 어떤 기술 사용
- 나의 역할
- 결과
항목별 작성방법 -입사후 계획
입사 후의 본인의 공부 계획쓰기
Q. 추천하는 검사가 있는지?
→ 혼자서 검사 하나로 할 수 있는게 어렵다
'데이터분석 > 특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AC 18일차] Tableau (0) | 2024.04.16 |
---|---|
[ASAC 1일차] Excel 데이터 분석 기초 (1) | 2024.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