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SAC5기
- 크롤링
- join
- ML
- text summarization
- 백준
- 머신러닝
- YouTube
- SQL
- 데이터분석
- 프로그래머스
- Crawling
- EDA
- sql eda
- pandas
- CCP자격증
- selenium
- JSON
- Shorts
- DFS
- deep learning
- BFS
- cnn optuna
- ASAC14일차
- 파이썬 이미지 처리
- 뷰티 광고
- 파이썬
- ASAC
- Machine learning
- Python
- Today
- Total
낼름낼름 동동이
[ASAC 18일차] Tableau 본문
4월 16일의 기록
오늘은 수업이 조금 일찍 끝나서 로스트아크 api 구조를 좀 살펴보면서 어떻게 데이터를 끌어낼 수 있을지 확인해봤다. 우선 가진 장비나 아이템 레벨등의 정보를 가져오기위해선 해당 캐릭터 이름이 필요한데, 캐릭터 이름을 데이터로 받는 api는 없었다. 따라서, 캐릭터 이름을 수집하기 위해서는 로아와 같은 통계 사이트에서 크롤링을 통해 캐릭터 이름을 받아와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하나씩 해보면서.. 더 구체화시켜봐야지
1. 태블로
시각화의 중요성
월별로 높은 매출을 기록하고 있는 카테고리가 무엇인지 확인 할 때 한눈에 들어온다. 이처럼 시각화를 잘 활용하면 누구나 이해하기 쉬운 데이터 대시보드를 만들어낼 수 있다.
각 경쟁사들을 한눈에 비교하기
누구나 참여 가능한 대화형 데이터를 시각화 할 수 있다.
모바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태블로의 기본 컨셉
일반적으로
측정값은 숫자 형식이고, 액션 (drag-drop 또는 double-click)하면 집계를 통해 차트를 만들고,
차원은 그 숫자들로 만들어진 차트를 어떻게 나눠서 볼 것인지를 결정한다.
1-1. 막대 차트
Q. 막대 차트는 왜 만들까?
1) 만들기 쉽다
2) 항목별로 나눠서 보는데 적합하다
3) 카테고리(범주), 순위, 추세를 보는데 유용하다
Q. 막대 차트를 만드는 방식은?
태블로에서는 측정값에 있는 데이터 원본 필드 중 초록색 연속형 필드(지리적 역할인 위도, 경도는 제외)를 더블 클릭하면 기본적으로 막대 차트가 만들어진다.
기본적으로는 집계 방식을 통해 우선 차트를 만들고 이것을 분할해서 보는 기준은 차원의 값으로 결정되는데, 그 출발은 막대 차트부터 시작하게 된다.
불연속형은?
파란색 필드 = 불연속형 = 개별적으로 구분
유한한 범위, 뷰에 추가하면 머리글을 추가
Discrete = Blue, Separate and distinct, finite
Discrete fields draw headers.
연속형은?
초록색 필드 =연속형 = 단절이 없고 끊어지지 않는
무한대 범위, 뷰에 추가하면 축을 추가
Continuous = Green, unbroken, without interruption, infinite
Continuous fields draw axes.
1-2. 라인 차트
Q. 라인 차트는 왜 만들까?
1) 시간 순서에 따른 추세를 보는데 적합하다
2) 만들기 쉽다
Q. 라인 차트를 만드는 방식은?
[날짜] 유형 필드를 활용하면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여기에서도 연속형과 불연속형 개념을 잘 이해해야 한다.
1-3. 부분 전체 분석
부분 전체 분석은 전체에서 각각의 멤버들의 값이 어느 정도의 비율을 차지하는지 살펴보는데 적합하다.
다만, 멤버가 많은 경우에는 파이 차트나 도넛 파트 구성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으며, 이 경우에는 트리맵을 대안으로 적용해보면 좋다.
2. 개인 과제
1. 우리나라에 스타벅스 매장은 몇 개인가요?
2. 경기도에는 몇 개가 있나요?
3. 시도 기준 스타벅스 매장 갯수를 지도로 시각화해 봅시다.
→ 서울시 지역 기준으로 매장 개수 확인해본 결과!
4. 서울 강남구의 스타벅스 입점 위치(조건)을 파악해 봅시다. 어떤 특징이 있나요?
- 기본적으로 역 근처에 있거나 큰 사거리에 주로 몰려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5. 서울과 경기에 각각 DT(Drive Thru) 매장은 몇 개가 있나요?
- 서울 23개, 경기도 138개
그럼 이렇게 차이가 나는 이유가 뭘까요?
- 서울에는 차를 타고 스타벅스에 가는 사람이 많이 없고 고객들이 도보로 다니면서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에 비해 경기도에는 주로 차를 타고 이동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DT점의 개수가 크게 차이가 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6. '이마트' 매장에는 스타벅스가 몇 개 있을까요?
'데이터분석 > 특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AC 7일차] 취업 특강 (0) | 2024.03.31 |
---|---|
[ASAC 1일차] Excel 데이터 분석 기초 (1) | 2024.03.21 |